정적 중첩 클래스는 정말 필요할까?
·
언어/Java
궁금증중첩 클래스 중 정적 중첩 클래스(static nested class), 내부 클래스(Inner Class)의 차이를 살펴보며 다음과 같은 궁금증이 생겼다. 캡슐화를 위해 내부 클래스를 쓴다면, 실제 인스턴스와 연관 있는 내부 클래스(Inner Class)를 쓰면 되지, 왜 굳이 외부 인스턴스와 무관한 정적 중첩 클래스(static nested class)를 써야 할까?" 왜?! 정적 중첩 클래스를 사용할까? 1. 불필요한 외부 인스턴스 참조 제거(메모리 누수 방지)내부 클래스는 컴파일 시 자동으로 외부 클래스의 참조(this$0)를 갖는다.이건 때때로 GC가 외부 클래스 인스턴스를 회수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음특히 콜백 구조나 멀티스레딩 상황에서는 의도치 않은 메모리 누수(leak)로 이어질 수 ..
왜 List<String>은 List<Object>가 될 수 없을까? (제네릭과 와일드카드가 공존하는 이유)
·
언어/Java
🧩 공변(covariant)과 무공변(invariant)이란?먼저 개념부터 짚고 가자.공변이란 String이 Object의 하위 타입이라면,List도 List의 하위 타입으로 간주하는 성질이다.하지만 자바 제네릭은 무공변이다.즉, 타입 인자가 다르면 하위 타입으로 인정하지 않는다.String extends Object // ✅ OKList → List // ❌ No이 때문에 다음 코드도 허용되지 않는다.List list = new ArrayList(); // ❌ 컴파일 에러🔒 왜 제네릭은 무공변으로 설계되었을까?이유는 단 하나, 타입 안정성(type safety) 때문이다.다음처럼 컴파일이 허용된다고 가정해보자.List list = new ArrayList();lis..
왜 불변 객체를 써야 할까?
·
언어/Java
왜 불변 객체가 중요한가? 개발을 하다 보면 객체의 상태를 바꾸는 일이 매우 흔하다.그러나 이 상태 변경이 언제, 어디서, 왜 발생했는지를 추적하다 보면 복잡해지고,대부분의 버그는 “예상하지 못한 상태 변화”에서 비롯된다. 이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가능한 한 객체는 불변(immutable)하게 만들어라.” 그렇다면 불변 객체란 무엇이며,왜 그렇게들 불변을 강조하는가?✅ 불변 객체란?한 번 생성되면 내부 상태가 절대로 바뀌지 않는 객체를 의미한다. String name = "gugbab2";String upper = name.toUpperCase(); // name은 그대로, upper는 "경호"의 대문자→ String은 대표적인 불변 객체이다.toUpperCase()를 호출해도 원..
happens-before란 무엇인가?
·
언어/Java
자바에서 멀티스레드 환경을 다루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다.바로 "happens-before" 관계다.이것은 단순한 실행 순서를 말하는 게 아니다.“스레드 간의 메모리 정합성”을 보장하는 논리적 순서의 규칙이다.🔍 happens-before란?happens-before는 자바 메모리 모델(Java Memory Model, JMM)에서“A 작업이 B 작업보다 먼저 일어났음을 메모리 차원에서 보장하는 관계”를 말한다.즉, A happens-before B라면 → A의 메모리 변경 결과는 B에서 반드시 보인다.단순한 코드 순서가 아니라, 메모리 가시성(visibility)과 관련된 개념이다.🧱 대표적인 happens-before 관계 6가지동일 스레드 내 코드 순서int x = 1;int y = x..
ABA 문제란? - CAS 에서 터질 수 있는 진짜 함정
·
언어/Java
Java에서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CAS(Compare-And-Swap)라는 개념을 자주 접하게 된다.그러나 CAS가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니다. 그중 대표적인 함정이 바로 ABA 문제이다.🔍 ABA 문제란?ABA 문제는 값이 A였다가 B로 바뀌었다가 다시 A로 돌아왔을 때 발생한다.CAS는 값이 같으면 문제없이 통과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중간에 값이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즉, 값은 같지만 의미상으로는 완전히 다른 데이터일 수 있음에도 이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 ABA 문제의 핵심이다.🧪 왜 위험할까?CAS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if (value == expected) { value = newValue;}이때, 다른 스레드가A → B → A로 값을 변경해버리면,CA..
Executor 프레임워크2 - Executor 프레임워크가 등장한 이유
·
언어/Java
앞선 글에서 직접 스레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그에 대한 해결책인 Executor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알아보겠다.먼저 이전 글에서 확인해보았던 직접 스레드를 사용할 떄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인해보자. 직접 스레드를 사용할 때의 문제점Java에서 병렬 작업을 위해 Thread 클래스를 직접 생성하고 실행하는 방식은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 서비스 환경에서는 몇 가지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한다.스레드 재사용의 어려움Thread 인스턴스는 한 번만 실행할 수 있으며, 매번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하는 것은 리소스 낭비다.스레드 관리의 복잡성스레드의 생명주기 관리, 예외 처리, 동기화 등은 개발자가 직접 처리해야 하며, 이는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Runnable 인..
Executor 프레임워크1 - 스레드를 직접 사용할 때 문제점
·
언어/Java
스레드를 직접 사용할 때 문제점 실무에서 스레드를 직접 생성해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3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스레드 생성 시간으로 인한 성능 문제스레드 관리 문제 Runnable 인터페이스의 불편함 스레드 생성 시간으로 인한 성능 문제스레드를 사용하려면 먼저 스레드를 생성해야 한다. 그런데 스레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매우 무겁다.메모리 할당 : 각 스레드는 자신만의 호출 스택(call stack)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호출 스택은 스레드가 실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따라서 스레드를 생성할 때는 이 호출 스택을 위한 메모리를 할당해야 한다.운영체제 자원 사용 : 스레드를 생성하는 작업은 운영체제 커널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시스템 콜(system call)을 통해 처리된다. 이는 ..
synchronized 키워드 이해도 체크
·
언어/Java
1 - 40억까지 더하는 코드를 n 개의 스레드로 병렬로 돌아가도록 짜 보세요.각 스레드가 서로 다른 범위를 나눠서 합계를 구하고,main 스레드는 join()으로 모든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Thread t1 = new Thread(() -> { /* 1 ~ 10억 합 */ });Thread t2 = new Thread(() -> { /* 10억+1 ~ 20억 합 */ });...t1.start();t2.start();t1.join(); // main 스레드는 여기서 대기t2.join();join(): 스레드가 끝날 때까지 main 스레드가 대기하게 만듭니다.이렇게 하면 main 스레드가 모든 작업이 끝난 뒤 결과를 처리할 수 있어요.synchronized 메서드의 동기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