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재성, 이상훈님의 책을 보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문제가 될 시 해당글 삭제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연결 구분
- 네트워크는 규모와 관리 범위에 따라 LAN, MAN, WAN 으로 구분된다.
- LAN : 사용자 내부 네트워크(Local)
- MAN : 한 도시 정도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WAN : 멀리 떨어진 LAN 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원격)
LAN
- 소규모 네트워크를 뜻하며, 먼 거리를 통신할 필요가 없어 스위치 같이 비교적 간단한 장비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LAN 이라 불러왔다. - 현재는 대부분 이더넷 기반 전송 기술을 사용한다.
WAN
- 먼 거리에 있는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멀리 떨어진 LAN 을 서로 연결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WAN 에 해당한다.
-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직접 구축할 수 없는 규모이기 때문에, 대부분 통신 사업자로부터 임대한 회선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회선
- 원격지의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WAN 을 사용해야 한다. 현재는 LAN 과 동일하게 이더넷이 주로 사용된다.
인터넷 회선
- 인터넷 접속을 위해 통신 사업자와 연결하는 회선
- 통신 사업자가 판매하는 인터넷과 연결된 회선을 사용해야 접속이 가능하다.
-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인 인터넷 전용 회선과 다르다. ⇒ 전송 선로 공유 기술을 사용한다. (ex: 아파트 광랜은 통신 사업자 - 아파트로 연결된 회선을 아파트 내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이다. )
전용 회선
- 가입자와 통신 사업자 간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서비스를 대부분 전용 회선이라고 부른다.
- 가입자와 통신 사업자 간 전용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비싸겠지?)
- 전용 회선을 가입자와 접속하는 전송 기술 기반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저속 : 음성 전송 기술 기반
- 작은 기본 단위를 묶어 회선 접속 속도를 높이는 방법
- 보통 높은 접속 속도가 필요로 하지 않거나, 높은 신뢰성이 필요할 때 사용
- 현재는 이더넷 기반의 광 전송 기술이 신뢰할 정도로 높아져 사용 빈도가 줄고 있다.
- 신뢰도가 가장 중요한 전문 전송 or VAN 연결에는 아직도 많이 사용된다 (금융권, 공공 기관)
- 고속 : 메트로 인터넷
- 광케이블 기반에 이더넷을 사용
- 가입자와 통신 사업자 간의 접속 기술은 이더넷을 사용하고, 통신사업자 내부에서는 이런 개발 가입자를 묶어 통신할 수 있는 다른 고속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 통신 기법이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여러 가입자를 구분하고 가입자 트래픽을 고속으로 전송해야 하기 때문이다.
- 다양한 가입자들의 접속 기술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된다.
- 저속 : 음성 전송 기술 기반
인터넷 전용 회선
- 인터넷 연결 회선에 대한 통신 대역폭을 보장해주는 상품
- 가입자와 통신 사업자가 먼저 연결되고, 이 연결이 다시 인터넷과 연결되는 구조.
- 인터넷 회선과 달린, 다른 가입자와 경쟁하지 않고 가입자 간의 연결 품질을 보장해준다. (지금의 자취방!)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물리적으로 전용선은 아니지만, 가상으로 직접 연결한 것 같은 효과가 나도록 만들어주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통신 사업자 VPN
- 전용선은 연결 거리가 늘어날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도시 내의 전용선 연결은 비싸지 않지만, 타 도시나 해외 연결 전용선은 매우 비싸다.)
- 전용선은 사용 가능한 대역폭을 보장해주지만, 매번 그 대역폭 모두를 사용하지는 않기 때문에 낭비되는 비용이 클 수 있다.
- 이런 낭비를 줄이고, 먼 거리와 연결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통신 사업자가 직접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VPN 기술을 사용해 비용을 낮추고 있다.
- 대표적인 기술 MPLS VPN (하나의 망을 사용하지만 가입자를 구분해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이 기술은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망에 접속해 통신하므로 공용 회선을 함께 이용하게 되어 비용이 낮아진다.
- 여러 가입자가 하나의 MPLS 망에 접속 되지만 가입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 전용선처럼 사용할 수 있다.
가입자 VPN
- 직접 먼 거리의 전용선을 만들면 비용이 매우 높다.
-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일반 인터넷 연결을 이용한 VPN을 사용한다. (
뒤에서 설명)
DWDM
- 하나의 광케이블에 다른 파장의 빛을 통해 여러 채널을 만드는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술이 나오기 이전 하나의 광케이블에서는 하나에 통신만 가능했다. 이는 물리적인 한계를 맞이하게 된다.)
네트워크 구성요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랜카드)
- 랜카드는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 랜카드가 없다면 컴퓨터는 스위치를 통해서 들어오는 2계층 네트워크 정보를 이해하지 못한다.
- 노트북과 데스크톱에는 랜카드가 온보드로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는 추가할 필요가 거의 없다.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더 높은 대역폭이 필요한 경우 랜카드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주요 역할
- 직렬화
-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 신호 형태 or 데이터 신호 형태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해준다.
- MAC 주소
- 랜카드는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받은 패킷의 도착지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가 아니면 폐기하고 맞으면 시스템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올린다.
→MAC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변경할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강제적으로 바꿀 수 있기는 하다;;
- 랜카드는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받은 패킷의 도착지 주소가 자신의 MAC 주소가 아니면 폐기하고 맞으면 시스템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메모리에 올린다.
- 흐름 제어
- 패킷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통신이 하나의 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미 통신 중인 데이터 처리 때문에 새로운 데이터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
- 이런 현상으로 데이터를 받지 못할 때 상대방에게 통신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 직렬화
케이블과 커넥터
- 신뢰도 높은 통신의 경우에는 아직도 유선이 사용되고 있다.
이더넷 네트워크 표준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리적 네트워크 기술
→ 반대로, 논리적 네트워크 기술은 TCP/IP - 현재 대중화 되어있는 이더넷 표준은 기가 바이트 이더넷 표준 / 10기가 바이트 이더넷 표준이다.
- 대표적인 이더넷 표준 ( 아~ 대충 이더넷이 아래와 같은 표준을 따르고 있구나~ )
- 1,000BASE-T/10GBASE-T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을 사용하는 기가 이더넷 표준
- 1000BASE-SX/10GBASE-SR : 멀티모드 관 케이블을 사용하고 비교적 짧은 거리를 보낼 수 있는 이더넷 표준
- 1000BASE-LX/10GBASE-LR : 싱글모드 광케이블을 사용하고 비교적 긴 거리를 보낼 수 있는 이더넷 표준
케이블, 커넥터 구조
- 케이블은 물리적으로 케이블 본체, 커넥터, 트랜시버로 이루어져 있다.
- 모두 분리되어 있거나 모두 합쳐져 있는 일체형인 경우가 있다.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일체형인 경우가 많고, 광케이블은 다양한 속도와 거리를 지원해야 하므로 각각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케이블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 가장 흔히 사용하는 형태의 케이블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커넥터와 케이블 본체가 일체형이고 분리 할 수 없다.
- 요구되는 속도와 통신 거리에 따라 다양한 스펙이 있고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 10G 이상부터는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는데, 최근 네트워크 사용이 늘어가는 추세로 일반 서버에서도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10G 가 기본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쉴드가 있는 모델, 없는 모델이 있는데 고사양 케이블은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쉴드가 있는 케이블을 사용한다.
케이블 - 동축 케이블
- TV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검정 케이블과 같은 종류
- 과거 LAN 구간에서도 사용했지만 다루기 힘들고 가격이 고가이므로 잘 사용되지 않고 케이블 TV 나 인터넷 연결을 위해서 만 사용되어 왔다.
케이블 - 광케이블
- 광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다른 케이블보다 신뢰도가 높고 먼 거리까지 통신할 수 있다.
-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거나 먼 거리를 통신해야 하는 장비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
- 광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광케이블은 감쇄와 간섭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 변수가 적다..- 2가지 모드
- 싱글모드 : 먼 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케이블 굵기가 매우 가늘고 신호를 보내는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한다. (레이저는 다른 빛에 비해서 퍼지지 않고 직진하는 성질이 있다.)
- 멀티모드 : 싱글모드에 비해서 굵은 케이블을 사용하고 광원으로 LED 를 사용한다. (LED 광원은 레이저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어, 가격이 더 저렴하다.)
- 2가지 모드
커넥터
- 커넥터는 케이블 끝 부분으로 네트워크 장비나 네트워크 카드에 연결되는 부분
-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커넥터 모델이 고정되어 있지만, 광케이블은 다양한 모델의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트렌시버
- 다양한 외부 신호를 컴퓨터 내부 전기 신호로 바꾸어 줍니다.
케이블 → 커넥터 → 트랜시버 → (스위치)랜카드 → … - 트랜시버는 광케이블 뿐 아니라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도 수용할 수 있다.
- 트랜시버 만 변경하면 통신 길이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최근 생산되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와 랜카드는 트랜시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 트랜시버가 내장된 고정형 인터페이스 타입도 있다.
(들어오는 케이블 표준이 달라진다면 장비 전체를 바꾸어야 하는 불상사가;;)
허브
- 허브는 케이블과 동일하게 1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입니다.
- 허브는 거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줄어드는 전기 신호를 재 생성해주고(증폭),
- 여러 대의 장비를 연결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1:다 / 브로드캐스트)
- 허브는 단순히 들어온 신호를 모든 포트로 내보내 네트워크에 접속 된 모든 단말이 경쟁하게 되므로 전체 네트워크 성능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고,
- 패킷이 무한 순환해 네트워크 전체를 마비시키는 루프와 같은 다양한 장애의 원인이 되어 허브는 현재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는다.
스위치
- 허브와 동일하게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통신을 중재하는 2계층 장비이다.
- 허브는 단순히 전기 신호를 재 생성해 출발지를 제외한 모든 포트에 전기 신호를 내보내지만,
- 스위치는 허브와 달리 MAC 주소를 이해할 수 있어 목적지 MAC 주소의 위치를 파악하고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낸다.(1:1 / 유니캐스트)
라우터
- 라우터는 3계층에서 동작하면서 먼 거리로 통신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 라우터는 원격지로 쓸데없는 패킷이 전송되지 않도록,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를 컨트롤하고, 불분명한 주소로 통신할 경우, 이를 버린다.
- 정확한 방향으로 패킷이 전송되도록 경로를 지정하고, 최적의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한다.
로드 밸런서 (ex) L4 스위치)
- 로드 밸런서는 4계층에서 동작하면서, 포트 주소를 확인하는 동시에 IP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 로드 밸런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는 웹으로, 웹 서버를 증설하고 싶을 때는 로드 밸런서를 앞에 두고 그 뒤에 서버를 증설한다.
- 대표 IP 는 로드 밸런서가 갖고 로드 밸런서가 각 웹 서버로 패킷의 목적지 IP 주소를 변경해준다.
보안 장비 (방화벽 / IPS)
→ 논리적 장비
-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는 정확한 정보 전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보안 장비는 정보를 잘 제어하고 공격을 방어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일반적으로 가장 유명한 보안 장비는 방화벽으로, 4계층에서 동작해 방화벽을 통과하는 패킷의 정보를 확인하고 패킷 정책과 비교해 버리거나 포워딩한다.
기타 (모뎀 / 공유기)
- 거의 모든 가정이나 작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공유기는 2계층 스위치, 3계층 라우터, 4계층 간단한 방화벽 기능을 한 곳에 모아 놓은 장비이다.
- 겉으로는 하나의 장비로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크게 스위치와 무선 AP, 라우터 부분으로 구분되는 복잡한 장비이다.
- 모뎀은 짧은 거리를 통신하는 기술과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이 달라 이 기술을 변환해주는 장비이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Chapter4. 스위치 : 2계층 장비 (0) | 2023.01.10 |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Chapter3. 네트워크 통신하기 (0) | 2023.01.10 |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Chapter1 네트워크 시작하기 (1) | 2023.01.10 |
JWT(Json Web Token) (0) | 2022.06.27 |
세션과 토큰 (0) | 2022.06.27 |